용자누나 탐구생활 777

[ typescript ] 함수 타입 - 옵셔널 파라미터

함수 타입 - 옵셔널 파라미터(선택적 파라미터) 타입스크립트는 정의한 파라미터의 인자를 정확하게 갯수, 타입 등을 입력하지 않으면 오류 발생 함수의 옵셔널 파라미터 해당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로 1개의 값 또는 2개, 3개의 값을 넘기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파라미터 타입을 정의할 때, ? 를 입력해주면 입력을 받아도 되고, 받지 않아도 된다. 라는 의미이다. 정의한 파라미터 개수와 옵션만 허용하고, 그 이상의 갯수로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경우 오류 발생. 타입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예약어이자 기능이다. 참고 Tip 😏 파라미터와 반환값의 타입을 정의 파라미터의 값이 개수에 맞춰서 인자의 값도 1:1 매핑 되어야 한다. 어떨 때는 인자를 더 많이 넘기고, 생략하고 싶다면 ?를 사용한다.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함수 타입 - 파라미터를 제한하는 특성

함수 타입 - 파라미터를 제한하는 특성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할 때, 정의한 파라미터 외의 파라미터를 입력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의한 파라미터의 인덱스에 위치하는 파라미터 외의 값들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이것이 자바스크립트의 유연함이라고 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의 경우 정의한 파라미터가 아닌 값을 입력할 경우 오류를 발생해주므로써 불필요한 값을 인정하지 않는다. 타입스크립트의 장점이다. 특정 함수를 사용하면서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하게 된다. 자바스크립트의 유연함과는 다른 성질이다.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함수의 파라미터, 반환 값의 타입 정의하기.

함수 타입 - 파라미터, 반환값 함수의 파라미터에 타입을 정의하는 방식 파라미터의 타입을 2개 모두 숫자로 정의했기 때문에 반환값도 숫자로 알맞게 자동으로 반환해주지만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함수의 반환 값에 타입을 정의하는 방식 함수 반환 값의 타입을 정의하였기 때문에 함수는 필수로 return 값을 정해야 한다. 또한 반환 값을 숫자로 정의하고 반환값으로 문자열을 입력한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기본 타입-튜플, 객체, 진위값

기본 타입-튜플, 객체, 진위값 TS 튜플 배열의 특정 인덱스에 특정값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모든 인덱스의 타입이 정해져 있는 배열 address2와 같이 배열(Array)을 선언하는 경우에는 제네릭 형식에 한개의 자료형만 입력할 수 있다. TS 객체 타입스크립트 객체 선언 방식은 2가지가 있다. 자바스크립트와 동일하게 선언할 수도 있고, 객체 속성의 타입까지 지정할 수가 있다. TS 진위값 let test: boolean = true;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기본타입-문자열, 숫자, 배열

타입스크립트 기본타입-문자열, 숫자, 배열 const & let(ES6) const와 let 예약어는 ES6에서 사용하는 변수 선언 방식이다. let 예약어는 한번 선언하면 다시 선언할 수 없다. const 예약어는 한번 할당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단, 객체 {} 또는 배열 []로 선언했을 때는 객체의 속성(property)과 배열의 요소(element)를 변경할 수 있다. 객체 속성을 변경 배열의 요소를 변경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플레이그라운드 사이트 사용법

타입스크립트 플레이그라운드 사이트 소개 타입스크립트 공식 문서에 있는 Playground 왼쪽에 타입스크립트를 입력하면 오른쪽에 tsc 컴파일을 한 효과를 얻은 코드를 출력해준다. TS Config의 Target을 수정해서 좀 더 다양한 환경에서 변환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작성한 코드가 tsc 컴파일로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알고 싶다면 typescriptlang.org(타입스크립트 공식 문서) Playground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babeljs.io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문법을 최대한 많은 브라우저가 호환할 수 있게 변환해주는 도구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설정 파일(tsconfig.json) 생성 및 사용 방법

타입스크립트 설정 파일 ts파일을 매번 js 파일로 컴파일하는 과정은 번거롭다.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자동으로 컴파일 하도록 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다면 '웹 팩'을 알고 있으면 좋다. 매번 js파일로 컴파일하는 것보다 '웹 팩'을 이용하면 좋다. tsc 로 타입스트립트 파일을 컴파일할 때 부가적으로 옵션들을 줄 수 있는데 그 옵션들을 정의하는 파일이 바로 getting-started 밑에 tsconfig.json 파일을 만들어서 이 안에 key value 형태로 만들어주면 된다. tsconfig.json 작성 방법 key value 형태로 정의한다. 컴파일할 때 부가적인 옵션들 프로젝트를 타입스크립트로 변환할 때, 타입스크립트가 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이해할지에 ..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 실행하는 방법, compile 방법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 시작하는 방법(라이브러리 설치와 TSC) 폴더를 만들고 'index.ts'파일 생성 타입스크립트 확장자는 모두 .ts 이다. .ts 파일 자바스크립트를 입력해서 활용해도 상관없다. 자바스크립트에 자료형을 직접 정의해도 상관없다. 함수를 호출하면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하기에는 브라우저가 아직까지는 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인식할 수 없다. ts 파일을 js파일로 변환을 해주어야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하다. 컴파일(compile) 이라고 일컫는다. compile 방법 터미널을 실행해서 컴파일 변환 작업을 해준다. node.js 버전 확인하는 방법 터미널에서 node -v 이라고 입력. 추가 설치사항(js파일을 ts파일로 compile하기 위한 설치사항) npm i typescr..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typescript ] tsc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타입스크립트를 공부를 시작하고 ts파일을 js파일로 compile 하던 중 오류 발생 오류 내용 tsc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해결 방법 Visual Studio Cod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작업 폴더 선택해서 우클릭 - 터미널 실행 이전에는 powershell로 확인되던 터미널이 bash로 실행됨 compile 재시도 ts파일을 js파일로 변환하여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다시 compile 시도 tsc index.ts 명령어 입력 같은 폴더에 index.js 파일 자동 생성 현재 정책 확인하기 Get-ExecutionPolicy powershell에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야 가능하다. 보이는것처럼 bash 환경이 아닌 powershell에서 tsc 명령어를 사용하려고..

IT 유용한 정보 2021.01.10

[ JUnit 5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의 하루 시나리오 기획자에게서 새로운 요구사항이 들어온다. 새로운 기능에 대한 기획 내용을 가지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가지고 기능 개발을 진행한다. AQ에 넘기기전에 전체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본다. 다른 기능에서 테스트코드가 실패했다. 새로운 기능과 테스트코드가 실패한 코드를 수정했다. 전체 테스트 코드가 성공했다. 테스트 작성의 이유 개발자의 이해를 테스트한다 : 개발자가 모든 치명적인 구성요소의 요구사항들을 코드로 명확히 작성하기에 충분히 문제를 이해하고 있는가? 품질을 보증(QA)한다 : 수동적인 QA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경험에 비춰보면 리팩토링을 하거나 새 기능 추가 혹은 제거할 때 여파가 있을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을 기억해내서 테스트하..

JUnit 5 2021.01.06

[ JUnit 5 ] 기초 복습 / Test Method , Lifecycle Method 종류

Test Method 종류 @Test @RepeatedTest @ParameterizedTest @TestFactory @TestTemplate실제 테스트하고자 하는 테스트를 넣는 클래스 Lifecycle Method @BeforeAll @AfterAll @BeforeEach @AfterEachTest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실행되는 메서드 Lifecycle Method @BeforeAll 테스트 Class 기준으로 테스트 메서드들이 실행되기전 실행 JUnit 4의 @BeforeClass 역할 @BeforeEach 각 테스트 메서드가 실행되기전 실행 JUnit 4의 @Before 역할 @AfterAll 테스트 Class 기준으로 테스트 메서드들이 실행된 후 실행 JUnit 4의 @AfterClass 역할 ..

JUnit 5 2021.01.06

[ java ] Duration.ofSeconds, Duration.ofMillis 사용법

Test를 할 때 주로 사용 Duration.ofSeconds() Duration.ofMillis() 테스트를 할 때, 해당 메서드의 실행 시간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 @Test @DisplayName("스터디 시작") void create_new_study() { assertTimeout(Duration.ofMillis(100), () -> { new Study(10); Thread.sleep(300); }); } 해당 메서드의 실행종료까지 소요시간을 확인해서 0.100s를 초과하는 경우에 테스트는 실패한다. 메서드 실행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Thread.sleep을 사용하여 테스트 실패를 유도했다. 위의 코드는 메서드가 모두 실행이 된 후(300 millis를 잠재훈 후)까지 시간을 확인해서..

Java 2021.01.0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