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접기
728x90
반응형
[profile local]
aws_access_key_id=*********
aws_secret_access_key=*********
config 파일은 지정된 경로에 저장을 해야 읽을 수 있다.
c:\Users\(사용자명)\.aws
- 위 경로에 .aws 폴더 생성
- 그 안에 config 파일을 위치시킨다.
profile 명(local)은 변경하여 사용 가능
| 나의 실수
- .aws 폴더 안에 config 파일을 위치시켜야 하는데, config 폴더를 생성하고
config 폴더 안에 config 파일을 위치시켜서 오류 발생
Spring Boot Project 안의 .elasticbeanstalk 폴더
.elasticbeanstalk 폴더 안에 config.yml 파일 존재
- .aws 폴더 안에 있는 profile 명을 변경하면 프로젝트 안에 있는 .elasticbeanstalk 폴더 안에 있는 config.yml 파일의 profile 명도 동일하게 변경해주어야 한다.
.elasticbeanstalk
폴더는Navigator
에서 볼 수 있음
미션
- development 브랜치에서
- controller/Health2Controller 생성
HTTP GET
/health2
response:
"ok"
- 로컬에서 테스트
- profile: local로 설정
- bandizip 설치
- 다음 순서로 빌드
(1). 커맨드 창 열기(cmd)
(2). mvn package (안되면 mvnw package) 명령어 입력
mvn 명령어는 메이븐 홈페이지에서 Files의 Binary zip archive를 다운받아
c:\dev 경로에(dev 폴더 생성) 압축 해제를 하면 실행된다.
- apache-maven-3.6.2-bin.zip
(3). make.bat 명령어 입력
(4). eb deploy --verbose 명령어 입력
- 중간 중간 필요한 상세 내용은 다른 게시물 참고
https://stageapi.*****.net/health2 호출
728x90
반응형
LIST
'IT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응답코드 메소드 정리]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0) | 2021.04.11 |
---|---|
sts에서 application.yml 파일 2개(배포용, 개발용) 관리하여 run하기 (0) | 2021.04.11 |
cors 이해하기 좋은 사이트 (0) | 2021.04.08 |
결제연동__아이엠포트를 사용한 결제 구현하기 (0) | 2021.04.08 |
windows에 AWS EB CLI 설치 방법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