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기본 용어.

JooKit 주킷 2020. 5. 5. 23:14
목차 접기
728x90
반응형

1. H/W
원래는 쇠붙이라는 뜻으로 컴퓨터의 CPU, HDD, 기억장치 등 기계장치의 몸체 그 자체를 일컫는 말이다.

2. S/W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한 운영체제(Windows 등) 및 각종 프로그램(한글 등)을 말한다.

3. 운영체제
컴퓨터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시스템 프로그램들의 집합으로 Window, UNIX등이 이에 해당된다.

4. CPU(중앙처리장치)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로써, 다양한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로부터 자료를 받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모니터, 프린터 등)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장치로써 컴퓨터 성능을 좌우하는 기준이 된다.

5. RAM(주기억장치)
Random Access Memory의 약칭으로 데이터의 기록과 해독하는 기능이 있으며 컴퓨터가 하는 모든 작업은 보조기억장치인 HDD에서 읽어와 RAM상에서 이루어지며 RAM의 크기에 따라 컴퓨터 속도가 많이 좌우된다.

6. HDD(보조기억장치)
자료를 보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써 크기에 따라 자료 보관 용량이 달라지며 CPU의 성능, 운영체계(Windows등)에 따라 HDD의 용량이 제한되며 특히 습기, 전기적, 물리적 충격에 약해 보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7. LAN-CARD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장착된 확장카드로서 과거에는 유선 LAN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건물의 미관 등을 고려하여 무선 LAN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8. 허브(HUB)
컴퓨터를 LAN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인터넷도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인터넷 공유기도 있다.

9. 서버컴퓨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제어하는 컴퓨터로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지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10. 클라이언트 컴퓨터
서버의 자원을 이용하여 각각의 작업을 하는 컴퓨터이다.

11. 백업(Backup)
컴퓨터의 자료가 실수 및 불의의 사고로 손상되었을 경우 복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복구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별도 보관하는 것을 의미하며 계획을 세워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바이러스
사용자 몰래 다른 프로그램에 자기 자신을 복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파일을 변형하여 중요한 자료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삭제 또는 시스템을 점유하여 다른 작업을 하는데 지장을 초래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13. 악성코드
악성프로그램 또는 비바이러스 악성코드라고도 하며, 바이러스와 달리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지는 않지만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유해 프로그램을 말한다. 악성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의심이 가는 사이트는 방문하지 말고 의심이 되는 e-mail은 열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인터넷 보안등급을 설정하고 악성코드 전용제거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악성코드로는 트로이목마, 스파이웨어(애드웨어 트랙웨어)등이 있다.

14. 방화벽
내부의 전산망을 인터넷 등 외부망과 연결하거나 기업 내 사설망을 구축할 때 외부사용자로부터 중요한 기밀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축하는 보호막이다.

15. 포맷
매체(HDD)상의 저장공간을 설정한 다음 저장된 데이터들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파일배치표(FAT)를 만드는 것으로 HDD의 모든 내용은 지워진다.

16. USB(범용직렬버스)
오디오플레이어, 프린터, 키보드, 정화, 스캐너 등과 같은 주변장치와 컴퓨터간 연결 장치이며 과거의 컴퓨터는 USB 포트가 없는 경우도 있다.

17. 시스템복원
시스템이 오류를 일으키거나 바이러스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피해를 입기 전의 시스템으로 되돌려 놓는 작업이며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도구->시스템복원을 클릭 후 '이전시점으로 내 컴퓨터 복원'을 선택 후 다음을 누릅니다. 복원하고자 하는 시점의 일자를 클릭한 후 다음버튼을 눌러 순서대로 진행하면 재 부팅되면서 선택한 일자로 시스템이 복원됩니다. 주의할 사항은 복원 일자 이후에 설치한 프로그램 및 장치가 있으면 재 설치 하여야 합니다.

18. IP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주소이며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19. 도메인(Domain)
인터넷상의 컴퓨터 주소를 알기 쉬운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20.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며 인터넷상에 연결된 컴퓨터를 구별해 준다.

21. 버퍼
컴퓨터의 주기억장치(RAM)와 주변장치(HDD, 프린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각 장치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송되는 속도차이 또는 시간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고속의 임시 기억장치이다.

22. 드라이버(Driver)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의 연결 고리가 되는 프로그램으로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운영체제 아래서 작동하는데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보통 컴퓨터, 프린터 등을 새로 구입시 제공되는 CD등이 드라이버 이다.

23. 버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딩오류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24.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언어로 작성된 짧은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들을 말한다.

25. 안전모드(Safe Mode)
컴퓨터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하여 윈도우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부팅하는 방법이며 운영체제,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를 제외한 모든 기능과 프로그램들은 사용할 수 없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