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 ] 무중단 배포

JooKit 주킷 2020. 10. 4. 20:20
목차 접기
728x90
반응형

※ [ 서버 ] 무중단 배포 

 

 

 

1. sudo systemctl restart tomcat 명령어 입력 

    - putty에서  sudo systemctl restart tomcat명령어를 입력하면 tomcat이 재 실행된다.

    - tomcat이 재실행될 때에는 :8080/manager/html도 로딩을하며 

        서비스도 tomcat이 재실행되는 동안 다운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재실행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 웬만하면 껐다키지 않는 것이 좋겠다.

 

 

 

 

 

 

2. 기존 manager/html 의 모습 

    - pom.xml에서 <path>/</path> 를 

         - <path>/ROOT##2</path>로 입력을 하면 Tomcat 웹 애플리케이션 매니저에 다른 경로로 서비스가 업로드 된다.

    - ##2가 아니라 <path>/ROOT##2</path>라고 써주어야 한다.

        - <path>/</path> 자체가 ROOT를 생략한 것이다.

        - ##2를 붙여주려면 ROOT를 함께 써주어야 한다.

 

 

 

 

 

 

 

 

 

3. <path>/##2</path>로 서비스 배포를 하면 Tomcat 웹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버전 2로 업로드가 된다.

    - 한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가 2개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 녹색으로 표시된 버전2가 좀 전에 배포된 서비스를 의미한다.

        - 실행중의 false는 아직 배포중이라 false로 출력된다. 배포가 다 된다면 true로 바뀔 것임.

    - 기존 버전과 버전2 2개의 서비스가 한개의 Tomcat 웹 애플리케이션에 존재한다면 

        tomcat은 기존 유저와 새로운 유저를 자연스럽게 버전2로 몬다.

    - 그리고나서 기존 버전의 세션들이 0이 되었을 때, 명령들의 '중지' 버튼을 클릭하면 자연스럽게 

      기존 서비스를 관리하던 tomcat을 없앨 수 있다.

 

 

 

 

 

 

 

 

4. 배치된 것을 중지, 제거 한 다음에 다시 배포를 해주면 버전 2로 업로드가 되고 업로드가 다 되면 실행 중이 

    false에서 true로 변한다.

 

 

 

 

 

 

 

5. 서비스 데이터를 수정한 뒤, 다시 배포를 할 때 기존 <path>/ROOT##2</path>를 

    <path>/ROOT##3</path>로 변경해서 배포해준다.

    - 기존의 <path>/ROOT##2</path>로 배포를 한다면 별 다를바가 없다.

        - 버전2가 재부팅되는 것이다. 의미가 없다. 서비스가 살짝 다운됐다가 다시 실행된다.

 

 

 

 

 

 

6. 새로운 버전으로 업로드를 한 뒤, 기존 버전의 세션들이 0이 되었을 때, '중지'를 하고

    '배치된 것을 제거' 해주면 된다.

    - 새로운 버전으로 tomcat이 기존, 새로운 유저들을 자연스럽게 옮긴다.

    - 그럼 중단없이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다.

        - 사용자는 본인들이 Tomcat 웹 애플리케이션을 갈아 탔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7. 이게 바로 무중단 배포!!!   짜잔.

 

※ 그런데 샘은 무중단 배포를 사용하지 않으신다 ㅎㅎㅎㅎㅎ

    - 일단 번거롭기도 하고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하신다.

    - 조금이라도 끊기면 안되는 상황에서 사용하신다고 하셨다.

 

 

 

 

 

 

 

 

 

 

※ catalina는 tomcat의 내부 엔진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