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이란 무엇인가?

JooKit 주킷 2020. 7. 4. 23:33
목차 접기
728x90
반응형

URL이란 Uniform Resource Locators의 약자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자원을 찾기 위해서 해당 정보 자원의 위치와 종류를 파악해야할 때 사용하는 일련의 규칙이며 이 안에는 네트워크 상에 퍼져있는 특정 정보 자원의 종류와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http://www.abcd.com:80/asd/df/sf.html이라는 는 사이트가 존재한다고 할 때, (물론 존재하지 않는 링크이니 눌러보아도 연결되는 사이트는 없을 것이다.)

 

http:// 이 부분은 프로토콜 부분,

www.abcd.com  이 부분은 서버부분,

asd/df 이 부분은 자원의 위치

sf.html은 자원이 된다.

 

서버부분에 대해 더 설명을 하자면, 우리가 흔히 쓰는 www.naver.com과  과 같은 주소는 IP주소에 

매핑되어 있는(연결되어 있는) 주소라고 할 수 있다.

IP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우리가 기억하여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렵기에 우리는 매핑되어있는 주소를 사용하여 웹사이트에 접근하게 된다.

 

포트번호 이후에는 생소할 수 있는데 포트번호는 default 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기에 우리가 사용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자원의 위치와 자원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느 파일과 폴더의 경로라고 생각하면 쉽겠다.

우리가 흔히 보는 웹페이지들 역시 어떠한 위치에 저장이 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명시하지 않으면 index.html을 기본으로 넘겨주게 된다.

 

우리가 흔히 보고 있는 http://www.naver.com이라는 는 사이트 역시 사실은 http://www.naver.com/index.html이라고 고 생각하면 된다.

 

 

 

 

* 프로토콜(Protocal)이란?

-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신호 체계, 인증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 통신 프로토콜은 통신(데이터를 주고 받는) 상호간에 미리 약속된 규칙, 구약입니다.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 구조는 이런식으로하고", "그건 이런의미이고", "속도는 어느정도로 보내고" 그런식으로 보내기로 하자. 라고 약속을 한 것입니다.

 

- 비유를 하자면, 어디 기업에 내 이력서를 보낸다고 할 때 메모장에 그냥 줄 글로 한자 영어 막 섞어서 작성해서 제출하는것과 그 회사와 약속되어있는 (그 회사가 제공하는) 이력서 양식에 맞추어 써서 보내는 것의 차이.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양식에 맞추어 보내게 된다면 상대방이 받았을 때 어느 부분에 뭐가 있으며, 이 정보는 이뜻이구나 하고 알 수 있지요! 이런 것을 네트워크 상에 미리 정해놓은 것입니다.

- 이러한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기관은 IEEE, ISO 등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